티스토리 뷰

수필 읽기

국토 예찬 / 최남선

부흐고비 2020. 5. 1. 22:01

국토 예찬 / 최남선1


우리의 국토는 그대로 우리의 역사이며, 철학이며, 시이며, 정신입니다. 문학 아닌 채 가장 명료하고 정확하고, 또 재미있는 기록입니다. 우리 마음의 그림자와 생활의 자취는 고스란히 똑똑히 이 국토 위에 박혀서 어떠한 풍우라도 마멸시키지 못한다는 것을 나는 믿습니다.

나는 우리 역사의 한 작은 학도요, 우리 정신의 한 어설픈 탐구자로서, 진실로 남다른 애모와 탄미와 함께 무한한 궁금스러움을 이 산하대지에 가지는 것입니다. 자갯돌 하나와 마른 나무 한 밑동도 말할 수 없는 감격과 흥미와 또 연상을 자아냅니다. 이것을 조금씩 색독이나마 하게 된 뒤부터 우리나라가 위대한 시의 나라, 철학의 나라임을 알게 되고 또 완전, 상세한 실물적 오랜 역사의 소유자임을 깨닫게 되고, 그리하여 쳐다볼수록 거룩한 우리 정신의 불기둥에 약한 시막이 퍽 많이 아득해졌습니다.

곰팡내 나는 서적만이 이미 내 지견의 웅덩이가 아니며 한 조각 책상만이 내 마음의 밭일 수는 없게 되었습니다. 도리어 서적과 책상에서 불구가 된 내 소견을 진여한 상태로 있는 활문자, 대궤안에서 교정 받고 보양을 얻지 않을 수 없다는 것을 통절히 느꼈습니다.

묵은 심신을 시원히 벗어 던지고, 자유로운 공기를 국토여래의 상적토에서 호흡하리라 하는 열망은 시시각각으로 나의 가슴을 태웠습니다. 힘자라는 대로, 시간이 허락되는 대로 국토 예찬을 근수하기는, 나로서는 진실로 숭고한 종교적 충동에 끌린 바로서, 부득불연한 일입니다. 무엇보다도 큰 재미와 힘을 여기서 얻었고, 얻고, 얻을 것이니, 생활의 긴장미로만 해도 나의 이 수행은 오래도록 계속 되리라고 생각합니다.

우리 국토에 대한 나의 신앙은 일종의 애니미즘일지도 모릅니다. 나의 보는 그것은 분명히 감정이 있으며 웃음으로 나를 대합니다. 이르는 곳마다 꿀 같은 속삭임과 은근한 이야기와 느꺼운 하소연을 듣습니다. 그럴 때마다 나의 심장은 최고조의 출렁거림을 일으키고 실신할 지경까지 들어가기도 한두 번이 아니었습니다. 그런 때의 나는 분명한 한 예지자의 몸이요, 일대 시인의 마음을 가지지만, 입으로 그대로 옮기지 못하고 운율 있는 문자로 그대로 재연하지 못할 때, 나는 의연한 일 범부며, 일 박눌한이었습니다. 그러나 나는 이것을 섭섭히 생각하지 않습니다. 왜 그러내 하면, 나의 작은 재주는 저 큰 운의를 뒤슬러 놓기에는 너무도 현격스러운 것이니까, 워낙 애닯고 서운해 할 염치가 없는 까닭입니다.

그러나, 혹은 유적, 혹은 전설에 내일을 기다리기 어려운 것도 있고, 혹은 자연의 신광, 혹은 역사의 밀의에 모르는 체할 수 없어서, 변변하지 않은 대로, 간 곳마다 견문고검의 일반을 기록하지 않을 수 없었습니다. 이는 진실로 문장으로 보거나 논고로 볼 것이 아니요, 또 천 년의 숨은 자취를 헤쳤거나 만인의 심금을 울릴 무엇이 있는 것도 아니지만, 그런대로 우리 국토에 대한 뜨거운 마음이 넘쳐 나온 것이니, 내게는 휴지로 버리기 어려운 점도 없지 아니합니다. 이러므로, 다만 한 가지 또 어슴푸레하게라도, 우리 정신의 숨었던 일면이 나타난다면 물론 분회의 다행입니다. 그렇진 못할지라도, 우리 청전구물에 대한 나의 애처롭고 안타까운 정리를 담은 것이 혹시나 강호의 동정을 산다면, 이 또한 큰 소득입니다. 아무튼 우리 국토의 큰 정신을 노래해 내는 이의 어릿광대로 작은 끄적거림을 차차 책으로 모아 갈까 합니다.

이제 그 첫권으로 내는 "심춘 순례"는, 작년 삼월 하순부터 수미 50여 일간, 지리산을 중심으로 한 순례기의 전반을 이루는 것이니, 마한 내지 백제인의 정신적 지주였던 신악의 여훈을 더듬는 것이요, 장차 해변을 끼고 내려가는 부분을 합하여 서한의 기록을 완성하는 것입니다.

진인의 고신앙은 천의 표상이라 하여 산악으로써 그 대상을 삼았으며, 또 그들의 영장은 뒤에 대개 불교에 전승되니, 이 글이 산악 예찬, 불도량 역참의 관을 주는 것은 이 까닭입니다. 적을 것도 많고 적을 방법도 있겠지만, 매일 적잖은 산정을 발섭하고 가쁜 몸이 침침한 촛불과 대하여 적는 데도 이것도 큰 노력이었습니다. 선재와 행문이 다 거침을 극한 것은 부재 이외에도 까닭이 없지 아니합니다. 그러나, 고치자니 새로 짓는 편이 도리어 손쉽고, 새로 짓자니 그만 여가가 없으므로 숙소에서 주필하여 날마다 신문사로 우송하였던 원고를 그대로 배열하게 되었습니다. 후안의 꾸지람은 얼마든지 받겠습니다.

행중에 여러 가지 편의를 주신 연로의 여러 대방가, 특히 각 산의 법승들에게 이 기회에 심대한 사의를 드립니다. 또, 남순 소편에 다소라도 보람 있는 구절이 있다면, 이는 시종 일관하게 구책유액의 노를 취해 주신 여러분의 현교와 암시에서 나온 것임을 아울러 표백해 둡니다.

  1. 최남선(1890~1957): 문인, 국학자, 사학가. 호는 육당. 서울 출생. 국학 수학, 일본 와세다 대학 중퇴. 독립 선언문을 기초한 사람으로 한국 최초의 신체시와 시조 등 많은 문학 작품을 발표하였다. 언문일치의 문장, 자유시의 제창, 시조의 현대화, 수필체 문장의 도입 등 불멸의 공적이 많다. [본문으로]

'수필 읽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금강산 기행 / 이광수  (0) 2020.05.01
심춘순례서(尋春巡禮序) / 최남선  (0) 2020.05.01
떳떳한 가난뱅이 / 박완서  (0) 2020.04.30
40대의 비 오는 날 / 박완서  (0) 2020.04.30
몽환적 시월 / 전혜린  (0) 2020.04.28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