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죽은 직유 / 안도현 중학생이나 고등학생에게 직유가 뭐냐고 물으면 대답이 한결같다. ‘처럼, 같이, 듯이’ 같은 말이 붙으면 무조건 직유라는 것. 국어시간에 시를 공부할 때 유난히 많이 들어서 그렇다. 원래 수사법은 어떤 대상을 강조하거나 참신한 표현을 얻기 위해 만들어졌다. 사실을 왜곡하거나 표현 대상의 겉치레를 위한 장식용으로 수시법이 필요한 건 아니다. 아무것이나 몸에 걸친다고 다 옷이 아닌 것처럼. 직유는 원관념과 비유하고자 하는 보조관념이 비숫한 성질을 가지고 있을 때 주로 발생한다. ‘세월이 화살처럼 빠르다.’ 덧없이 흘러가는 세월을 한탄할 때 흔히 쓰던 말이다. 겉으로 보면 직유가 맞다 형식적으로는 직유의 체계를 갖췄지만 나는 이런 직유를 ‘죽은 직유’라고 부른다. 이미 어디에선가 많이 들었..
수필 읽기
2021. 3. 1. 21:11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 Total
- Today
- Yesterd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