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한글날을 앞두고 한글을 다시 생각한다


한글의 나이는 몇 살일까? 세종대왕이 한글을 반포한 해부터 셈하면 올해로 어언 565년이다. 하지만, 순한글 신문인 독립신문이 발간된 해부터 셈하면 115년이고, 한글전용과 가로쓰기로 무장한 한겨레신문이 발간된 해부터 셈하면 겨우 23년이다. 한글은 나이 지긋한 문자일지 모르나 정작 한글 대중은 아직 새파란 청춘이다.

한글 대중의 성장은 한문 대중의 쇠퇴를 의미한다. 카카오톡으로 전달되는 한글 문자 메시지만 하루에 총 5억 건으로 추정된다고 하는 오늘날 한문으로 문자는 고사하고 편지를 보내는 건수가 하루에 과연 얼마나 될까? 한문 대중은 일상에서 사실상 소멸되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것은 한글을 위해 비극이다. 한글은 한글 대중에게 너무나 친숙해 있기 때문에 한글에 대한 문명사적 성찰이 한글 대중으로부터 내부적으로 나오기는 어렵기 때문이다.

이런 의미에서 20세기를 살았던 한학자들의 한글 인식은 오늘날 한글 대중의 관성적인 한글 인식을 초월하는 지적 자극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아래에서 김인후(金麟厚)의 13대손으로 송병선(宋秉璿)의 문인인 김로수(金魯洙, 1878~1956)가 해방 공간에서 지은 「경암야언(敬菴野言, 1945~1950)」의 생각을 따라가 보자.



1.
왜이(倭夷)의 시대에 우리 도가 비록 양구(陽九)1에 있었지만 저들은 우리와 종족이 같았고 문화가 같았고 종교가 같았기 때문에 한편으로 공자를 높이고 한편으로 한문을 배웠다. 지금 저들(=미군정)은 우리와 종족도 다르고 문화도 다르고 종교도 달라 공자가 어떤 사람인지도 모르고 한문이 어떤 글자인지도 모른다. 그런데, 신학(新學) 하는 무식한 무리가 다시 창귀(倀鬼)2가 되어 음만 있고 뜻이 없는 언문만 배우자고 창도하니, 한문은 금하지 않아도 절로 금해지게 되었다.

진(秦)나라 정(政, 진시황(秦始皇)의 이름)이 비록 시서를 불사르고 유생을 묻었어도 의약(醫藥)ㆍ복서(卜筮)ㆍ종수(種樹) 등의 책은 금하지 않았기 때문에 선왕의 도학이 망했어도 문자는 망하지 않았고, 다시 이세(二世)가 몇 년 안 가 망해서 한(漢)나라가 일어나 곧 유교를 부흥시켰다. 그래서 중국의 유교는 지금까지 4천여 년이 된다.

지금 우리 한국은 분서갱유를 하지 않아도 가르치는 이가 없고 배우는 이가 없어 결국 무용지물이 되어 자연히 멸망할 것이다. 그 재앙이 혹독하고 매운 것이 진나라 정의 때보다 만 배는 된다. 하늘이 사문(斯文)을 도우사 속히 건국(建國)하여 다시 거의 끊어진 문과 거의 어두워진 도를 회복해 주기를 원한다. 천만 피눈물 흘리며 기원하는 마음을 견디지 못하겠다.

2.
저들은 말한다. "한문(漢文)은 중국의 글이고 한문(韓文)은 우리나라의 글이다. 한문(漢文)은 더디고 배우기 어렵고 한문(韓文)은 빠르고 배우기 쉽다. 어찌 우리나라의 배우기 쉬운 글을 버리고 반드시 중국의 배우기 어려운 글을 배우려 하는가?" 이는 단지 언문(諺文)만 배워 진서(眞書)를 모르는 사람의 말이다.

한문(漢文)이 우리 한국에서 사용된 것이 4천여 년이나 되었으니 곧 한문(韓文)이 되었다. 비유컨대 물건을 사 오면 내 것이 되는 것과 같으니 이와 무엇이 다른가? 또, 시조가 중국에서 온 사람도 그 후손이 모두 우리나라 사람인데 지금 우리 민족이 아니라 하고 모두 쫓아 버릴 것인가? 외국의 기계와 물건이 우리나라에서 산출된 것이 아니라 하고 모두 사용하지 않을 것인가? 이렇게 법률과 기계는 피차를 막론하고 오직 좋은 것을 취하는 때를 만나 어찌 사천 년 동안 써 왔던 천하에 가장 좋은 글을 우리 글이 아니라 하고 버린단 말인가?

비록 더디고 배우기 어렵다 해도 배우는 사람의 재능에 따라 4, 5년 할 수도 있고 10년, 20년 할 수도 있고 종신토록 전문으로 할 수도 있다. 어떤 학문을 막론하고 대강을 학습하면 쉽고 빠르며, 깊은 데까지 다하고 미세한 데까지 연구하면 더디고 어려운 법이다. 어찌 한문만 그렇겠는가? 언문은 세종대왕이 창제했는데 부녀와 초목(樵牧)에게 가르치고자 한 것으로 진서를 번역하는 도구에 지나지 않았다. 비록 배우기 쉽고 빨라도 만약 정미한 영역에 들어가려면 반드시 다년간 공부를 해야 한다. 진서를 배우지 않고 단지 언문만 배우면 음만 알고 뜻은 몰라 음 하나가 혼잡해지면 변석할 수 없다. 진서 한 글자를 언문으로 서너 글자로 풀이하면 번잡함과 혼란함이 막심하니 차라리 언문을 폐할지언정 진서를 폐해서는 안 된다.

그러나, 진서는 본(本)이고 원(源)이다. 언문은 말(末)이고 유(流)이다. 본말과 원류를 겸비하고 병용한 뒤에야 문명국이라 할 수 있다. 학무국의 대인들이 이를 통찰하고 재단하여 5천 년 문명 예의지방이 이적금수의 구역으로 침몰하지 않게 해 준다면 천만 매우 다행이겠다.

- 김로수(金魯洙, 1878~1956), 「경암야언(敬菴野言)」, 『경암집(敬菴集)』

 

독립신문(獨立新聞) 창간호

한글은 신화에 빠져 있다. 그 신화는 알파벳의 신화이다. 세계 언어학자들이 한글을 세계 공용 문자로 선정했다, 영국 옥스퍼드 대학에서 한글을 세계에서 가장 우수한 문자로 뽑았다, 국제연합에서 문자가 없는 나라에 한글을 보급하고 있다, 이런 식으로 사실적 근거가 없는 유언비어가 초등학교 4학년 도덕 교과서에 버젓이 실려 있었음을 우리는 잘 알고 있다. 이 유언비어는 사실적 근거가 없다는 것도 문제이지만 한글을 알파벳의 차원에서만 본다는 것이 더 큰 문제이다.

사실 우리가 자부하는 한글의 우수성은 알파벳의 측면에 집중해 있다. 우리는 인도네시아 술라웨시주 부톤섬 바우바우시에서 현지 찌아찌아 민족의 음성언어를 표기할 문자로 한글을 선택하여 한글로 된 찌아찌아 국어 수업을 시범 운영하고 있다는 소식에서 기쁨을 느낀다. 한글이야말로 세계의 문자 없는 민족을 구원할 소중한 알파벳이로다! 물론 이러한 생각이 결코 틀린 것은 아니다. 헐버트 같이 한국의 역사와 문화에 해박했던 서양인도 비슷한 생각을 한 적이 있다. 그는 1902년 중국 민중의 피폐한 문자 생활을 구원하기 위해 중국 민중에게 한글을 보급하자는 깜짝 아이디어를 제시한 일이 있었다. 이 아이디어가 실현되었다면 오늘날 중국 민중은 이를테면 자기 나라 이름을 "中国" 대신 "쭝꿔"라고 기록했으리라.

하지만, 알파벳보다 중요한 것은 콘텐츠이다. 한글로 음성을 얼마나 잘 표기할 수 있느냐 하는 문제보다 더 중요한 것은 한글로 사물과 관념을 얼마나 잘 표현할 수 있느냐 하는 문제이다. 이를테면 『독립신문』을 보면 종종 "근년 써 옴으로"라는 낯선 구절이 나온다. 한문 원문의 "近年以來"를 번역한 것인데, 초창기 한글 대중에게 "以來"가 "이래"라는 한글 어휘로 흡수되지 못했던 척박한 현실을 보는 것 같아 쓴웃음이 난다. 또, 이규보의 『동명왕편』을 보면 동명왕이 하백에게 "나는 천제의 아들인데 지금 하백과 결혼하고 싶소[我是天帝之子, 今欲與河伯結婚]"라고 말하는 부분이 있다. 남자가 남자에게 결혼하자고 하다니! 오늘날 한글 대중이 지닌 "결혼"의 상상력으로 본다면 동명왕이 동성애자가 아닌가 의심받을지도 모른다. "結婚"이 "결혼"으로 변형된 결과이다.

콘텐츠는 궁극적으로 문명을 의미한다. 한글이 과연 한문 없이 문명을 구현할 수 있을까? 20세기 한글 전용에 반대했던 한학자의 핵심적인 물음이 이것이었다. 한글은 뜻을 분별하는 추상적 인식보다는 소리를 분별하는 음성적 인식이 강하고, 인문 전통을 구성하는 모든 콘텐츠는 그 동안 한문이 제공해 왔다. 오랜 직역주의 전통에 따라 한문의 훈독보다 음독이 발달했던 전통적인 어문 생활의 경험으로 볼 때 한글 전용은 한문 콘텐츠의 축소와 변형을 초래할 것이고, 한문이 폐지되면 자연히 한문을 음독해 온 음성 언어조차 사라져 버려 결국 한문 콘텐츠 그 자체가 멸망하고 인문 전통이 단절되고야 말 것이다.

중요한 것은 표기가 아니라 표현이다. 사고 없이 표현은 불가능하다. 조선시대에는 한글로 학술적인 사고를 하지 못했다. 하지만, 오늘날은 어떤가? 한글로 창조적인 학술 활동이 활발히 일어나고 있는가? 한글로 철학을 하고 있는가? 한글로 전 지구의 역사를 기록하고 있는가? 한글로 동식물의 과목을 분류하고 있는가? 하지만, 아직 한글은 여전히 새파란 청춘이다.

글쓴이 : 노관범(서울대학교 국사학과 박사, 가톨릭대학교 교양교육원 교수)

  1. 양구(陽九) : 1원(元), 곧 4560년 중에서 처음 106년째와 960년째에 발생하는 9년간의 한재(旱災). 전하여 큰 재앙을 뜻하는 말이다. [본문으로]
  2. 창귀(倀鬼) : 호랑이에게 물려 죽은 사람이 귀신이 되어 호랑이의 앞잡이 노릇을 하는 것이다. [본문으로]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