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옛사람이 높은 선비의 맑은 향기를 그리려 하되, 향기는 형태가 없어 난(蘭)을 그렸던 것이다. 아리따운 여인의 빙옥(氷玉)같은 심정을 그리려 하되, 형태가 없으므로 매화를 그렸던 것이다.
붓에 먹을 듬뿍 찍어 한 폭의 대(竹)를 그리면, 늠름한 장부의 불굴의 기개가 서릿발 같고, 다시 붓을 바꾸어 한 폭을 그리면 소슬한 바람이 상강(湘江-순임금의 왕비인 아황, 여영)의 넋(애절한 마음)을 실어오는 듯했다. 갈대를 그리면 가을이 오고, 돌을 그리면 고박한(古樸-예스런 맛이 있고 순수한) 음향이 그윽하니, 신기(神技)가 아니고 무엇인가. 그러기에 예술인 것이다.
종이 위에 그린 풀잎에서 어떻게 향기를 맡으며, 먹으로 그린 들에서 어떻게 소리를 들을 수 있는가. 이것이 심안(心眼)이다. 문심(文心)과 문정(文情)이 통하기 때문이다. 그러기에 백아가 있고, 또 종자기가 있는 것이 아닌가. 이 뜻을 알면 글을 쓰고 글을 읽을 수 있다.
글을 잘 쓰는 사람은 결코 독자를 저버리지 않는다. 글을 잘 읽는 사람 또한 작자를 저버리지 않는다. 여기에 작자와 독자 사이에 애틋한 사랑이 맺어진다. 그 사랑이란 무엇인가. 시대의 공민(共悶-함께 번민하고 괴로워함)이요, 사회의 공분(公憤-공적인 일로 느끼는 분노)이요, 인생의 공명(共鳴-함께 공감함)인 것이다.
문인들이 흔히 대단할 것도 없는 신변잡사를 즐겨 쓰는 이유는 무엇인가. 인생의 편모(片貌-어느 한 쪽면)와 생활의 정회를 새삼 느꼈기 때문이다.
속악한(저속하고 악한) 시정잡사도 때로는 꺼리지 않고 쓰려는 것은 무슨 까닭인가. 인생의 모순과 사회의 부조리를 여기서 뼈아프게 느꼈기 때문이다.
자연은 자연 그대로의 자연이 아니요, 내 프리즘을 통하여 재생된 자연인 까닭에 새롭고, 자신은 주관적인 자신이 아니요, 응시해서 얻은 객관적인 자신일 때 하나의 인간상으로 떠오르는 것이다.
감정은 여과된 감정이라야 아름답고, 사색은 발효된 사색이라야 정이 서리나니, 여기서 비로소 사소하고 잡다한 모든 것이 모두 다 글이 되는 것이다.
의지가 강렬한 남아는 과묵한 속에 정열이 넘치고, 사랑이 깊은 여인은 밤새도록 하소연하던 사연도 만나서는 말이 적으니, 진실하고 깊이 있는 문장이 장황하고 산만할 수가 없다. 사진의부진(辭盡意不盡-말을 다 하였으나 뜻은 그대로 남아 있다)의 여운이 여기 있는 것이다.
깊은 못 위에 연꽃과 같이 뚜렷하게 나타나면서도, 바닥에 찬물과 같은 그림자가 어른거리고, 물밑의 흙과 같이 그림자 밑에 더 넓은 바닥이 있어 글의 배경을 이룸으로써 비로소 음미에 음미를 거듭할 맛이 나는 것이다. 그리고는 멀수록 맑은 향기가 은은히 퍼지며, 한 송이 뚜렷한 연꽃이 다시 우아하게 떠오르는 것이다.
나는 이런 글이 쓰고 싶고, 이런 글이 읽고 싶다.
'수필 읽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산촌의 단상 / 김애자 (0) | 2020.11.11 |
---|---|
빛과 바람이 통하는 갓 / 이연숙 (0) | 2020.11.11 |
은행나무 / 김잠복 (0) | 2020.11.10 |
인(仁)을 밟다 / 이능수 (0) | 2020.11.10 |
기생충, 찔레꽃을 불러오다/ 송혜영 (0) | 2020.11.09 |
- Total
- Today
- Yesterd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