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벌써부터 신문에는 봄「春」자가 푸뜩푸뜩 눈이 뜨인다. 꽃송이기 통통히 불어오른 온실 화초의 사진까지 박아내서 아직도 겨울 속에 칩거해 있는 인간들에게 인공적으로 봄의 의식(意識)을 주사하려 한다. 노염(老炎)이 찌는 듯한 2학기 초의 작문 시간인데 새까만 칠판에 백묵으로 커다랗게 쓰인「秋」자를 바라다보니 그제야 비로소 가을이 온 듯 싶더라는 말을 내 질녀에게 들은 법한데 오늘 아침은 “어제 오늘 서울은 완연한 봄이외다”라고 쓴 편지의 서두를 보고서야 창밖을 유심히 내어다보았다. 먼 산을 바라다보고 앞 바다를 내려다보나 아직도 이 시골에는 봄이 기어든 자취를 찾을 수 없다. 산봉우리는 백설을 인 채로 눈이 부시고 아산만은 장근(將近) 두 달 동안이나 얼어붙어 발동선의 왕래조차 끊겼다. 그러다가 요새야 조금 풀려서 성앳장이 떠밀려 다니는 것이 보기만 해도 무시무시한데 어제밤 눈바람에 시달리던 뜰앞에 꽃나무에는 떨어지다 남은 잎새가 앙상한 가지에 목을 매어 단 채 바들바들 떨고 있다.
도야지 우리 위에 옹숭거리고 앉은 까치 두어 마리도 털이 까칠한 것이 아직도 추위를 털어버리지 못한 듯.
그러나 어쩐지 봄은 내 신변으로 스며들고 있는 것 같다. 오줌 장군을 짊어진 이웃집 머슴들이 보리밭으로 출동하고 땅바닥의 잔설이 햇살이 퍼지기가 무섭게 녹기 시작하는 것이 눈에 뜨여서 그런지, 아무튼 앞으로는 봄이 나와 친분이 두터월질 것 같다.
양지바른 책상머리에 정좌하여 수년 전 출판하려다가 붉은 도장 투성이가 되어 나온 시집을 몇 군데 뒤적이는데 “토막 생각”이란 제목 아래에 이런 구절이 튀어나왔다.
오관(五官)으로 스며드는 봄 가을 바람인 듯 몸서리쳐진다. 조선팔도(朝鮮八道) 어느 구석에 봄이 왔느냐.
그렇다. 삼천리 어느 구석에 봄이 왔는지 모른다. 사시장철 심동(深冬)과 같이 춥고 침울한 구석에서 헐벗은 몸이 짓눌려만 지내는 우리 족속은 봄을 잃은 지가 이미 오래다. 아무리 따스한 햇살이 이 땅 위에 내려쪼이고, 풀솜 같은 바람이 산천초목을 어루만져도 우리는 마음의 봄과 등지고 사는 것이 엄연한 사실이다. 우리의 감각은 새봄을 새틋이 느끼고 즐겨하기에는 목석(木石)과 같이 무디어진 것이 또한 사실임에야 어찌하랴.
불 꺼진 화로(火爐)를 헤집어
담배 꼬투리를 찾아내듯이
식어버린 정열(情熱)을
더듬어 보는 봄 저녁
피리소리도 들리지 않는데, 엉덩춤부터 추려는 것도 가소로운 일이어니와 나지 않는 춘흥을 억지로 불러일으키려는 자도 가엾은 어릿광대다. 작별 없이 지나간 청춘은 방정맞은 소조(小鳥)와 같이 한 번 앉았던 가지「枝」로 다시 돌아올 줄 모르고, 성냥불처럼 확하고 켜졌던 정열은 재「灰」가 되고 먼지로 화하여 자취없이 사라진다.
그러나 다시금 돌아오지 못할 그 시절임으로써 빛깔없이 보낸 지난날이 더욱 그립고 켜졌던 그 시간이 야속하게도 짧았기 때문에 싸늘한 잿무더기에다가 다시 한 번 불을 피워 보고 싶은 것이다.
그러나 나는 ‘혹시나’ 하고 새봄의 맥을 짚어 보려 한다. 일부러 나의 청춘을 조상하지 않으려 하고 억지로라도 우리의 환경은 비관하기 않으려 한다. 그것은 졸시(拙詩)에 이러한 끝구절이 있기 때문이다.
몇 백년(百年)이나 묵어서
구녁 뚫린 고목(古木)에도
가지마다 파릇파릇
새 움이 돋아나네
뿌리마저 썩지 않은 줄이야
파 보지 않은들 모르리
'수필 읽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어느 레슬러의 꿈 / 이기식 (0) | 2021.09.29 |
---|---|
7월의 바다 / 심훈 (0) | 2021.09.28 |
조선의 영웅 / 심훈 (0) | 2021.09.28 |
하필이면 / 장영희 (0) | 2021.09.27 |
곁의 여자 / 김지수 (0) | 2021.09.25 |
- Total
- Today
- Yesterd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