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까마귀는 검은 새인가


총명한 선비에게는 괴이하게 생각되는 것이 없으나 무식한 사람에게는 의심스러운 것이 많다. 그야말로 견문이 적으면 괴이하게 여김이 많다는 격이다.

무릇 총명한 선비라고 해서 어찌 일일이 물건을 제 눈으로 봐야만 아는 것이랴? 한 가지를 들으면 눈에는 열 가지가 형상화되고 열 가지를 보면 마음에는 백 가지가 설정되어 천 가지 괴이한 것과 만 가지 신기로운 것에 대해, 그 물건의 본질에 충실하여 객관적으로 보려 하되 주관을 섞지 않는다. 그런 까닭으로 마음에 여유가 있어서 응수를 무궁무진하게 할 수 있다.

본 것이 적은 사람은 해오라기를 가지고 까마귀를 비웃고 물오리를 들어서 학의 자태를 위태롭게 여긴다. 그 사물 자체는 전혀 괴이하다 생각하지 않는데 자기 혼자 성을 내어 꾸짖으며 한 가지라도 제 소견과 틀려도 천하 만물을 다 부정하려고 덤벼든다.

아아! 저 까마귀를 바라보자. 그 날개보다 더 검은 색깔도 없는 것이 사실이지만 햇빛이 언뜻 흐릿하게 비치면 얕은 황금빛이 돌고, 다시 햇빛에 빛나면 연한 녹색으로도 되며, 햇빛에 비추어보면 자줏빛으로 솟구치기도 하고, 눈이 아물아물해지면서는 비취색으로 변하기도 한다. 그렇다면 푸른 까마귀라고 불러도 옳으며 붉은 까마귀라고 불러도 역시 옳을 것이다.

그 사물에는 애초부터 정해진 색깔이 없건만 그것을 보는 내가 눈으로 색깔을 먼저 결정하고 있다. 어찌 눈으로만 색을 결정하는 것뿐이랴? 심지어 보지도 않고 미리 마음속으로 결정해버리기도 한다.

아아! 까마귀를 검은 색깔에다 봉쇄시키는 것쯤이야 그래도 괜찮다. 이제는 천하의 모든 빛깔을 까마귀의 검은색 하나에 봉쇄시키려 한다.

까마귀가 과연 검은색으로 보이긴 하지만 소위 푸른빛, 붉은빛을 띤다는 것은 바로 검은색 가운데서 푸르고 붉은 빛이 난다는 사실을 의미함을 그 누가 알고 있으랴? 검은색을 어둡다고 보는 사람은 까마귀만 모를 뿐 아니라 검은색조차 알지 못하는 사람이다. 어째서 그러한가? 물은 검붉기 때문에 능히 비출 수 있고 옻칠은 까맣기 때문에 능히 비추어볼 수 있다. 그런 까닭에 색깔이 있는 것치고 광채가 없는 것은 없고, 형체가 있는 것치고 맵시가 없는 것은 없다.

아름다운 여인을 관찰할 수 있다면 시(詩)를 알 수 있을 것이다. 여인의 고개 숙인 모습에서 그녀가 부끄러워하고 있음을 보고, 턱을 괸 모습에서 그녀가 원망하고 있음을 보고, 혼자 서 있는 모습에서 그녀가 그리워하고 있음을 보고, 눈썹을 찡그린 모습에서 그녀가 수심에 차 있음을 보고, 난간 아래 서 있는 모습을 보고 그녀가 누구를 기다리고 있음을 알고, 파초 잎사귀 아래 서 있는 모습을 보고 그녀가 누구를 바라보고 있음을 알아야 한다.

만약 그녀가 재(齋)를 올리는 중처럼 가만히 서 있지 않고 진흙 소상처럼 우두커니 앉아 있지 않는다고 책망한다면 이는 양귀비에게 치통을 앓는다고 꾸짖고 전국시대의 미인 번희(樊姬)에게 쪽을 짓지 말라고 금하는 꼴이며, 미인의 맵시 있는 걸음걸이를 요망하다고 나무라고 춤추는 자태를 경망하다고 질책하는 격이다.

나의 조카 종선(宗善)은 자(字)가 계지(繼之)이다. 시에 뛰어났으되 한 가지 법(法)에만 얽매이지 않고 온갖 체법을 골고루 갖추었으니 울연히 동방의 대가가 됨직하다. 성당(盛唐)시대의 시체로 지었는가 해서 보면 홀연히 한위(漢魏)시대의 시체가 되고 또 송명(宋明)시대의 시체가 되어 있고, 가까스로 송명체라고 말하려니 어느덧 다시 성당체를 띠고 있었다.

아아, 슬프다! 세속의 무식한 사람은 까마귀를 비웃고 학을 위태롭게 여김이 또한 매우 심하겠지만 조카 계지의 정원에 있는 까마귀는 자줏빛으로 변하기도 하고 혹 비취빛으로 변하기도 한다. 세속의 무식한 사람은 재를 올리는 중이나 진흙 소상처럼 미인을 가만히 고정시키려 하겠지만 미인의 춤사위와 걸음걸이는 하루가 다르게 더욱 경쾌하고 맵시 있게 되고, 앓는 이와 쪽진 머리는 다 나름대로 자태가 있는 법이다. 세속의 무식한 사람들의 노여움이 하루하루 불어나리라는 것을 의심할 바 없구나!

세상에는 총명한 선비는 적고 무식한 사람들은 많으니 아무 말도 하지 말고 잠자코 있는 것이 옳으리라. 그런데도 말을 그치지 않음은 무슨 까닭인가? 어허! 연암 노인이 연상각(烟湘閣)에서 쓰노라.

연암 박지원 (菱洋詩集序)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