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바람의 넋 / 유희남
나는 죽어 새가 되고 싶다.
현세에 지은 죄가 하도 무거워, 꿈도 야무지다고 내쳐질 게 뻔 하지만, 그래도 뻔뻔스러운 난, 한번쯤 하느님께 떼를 써 볼 참이다. 한때는, 생명을 받지 않고, 축생으로도 풀잎으로도 태어나지 말고, 구음이나 바람으로 환생하고 싶단 생각을 했었다. 젊은 날에는, 꽃보다 이쁘고 지인달사처럼 의연한 나무를 볼 때마다, 죽으면 푸른 나목으로 살고 싶단 소망을 가진 적도 있었다.
그러나, 내 혼 속에는 아버지 피가 흐른다. 그것은, 자유, 자유, 자유의 피다. 시원을 알 수 없는 그리움으로, 일평생 수상스런 바람에 부대낄 자유의 향기. 그래서 난, 새가 되고 싶다. 새가 되고 싶다. 아마, 선친께서도 새가 되셨으리라.
일생동안 누가한테도 굽힌 바가 없었고, 그 어떤 것에도 거칠 것이 없었던 내 아버지, 그 수려한 풍모와 학식과 해박한 논리, 그리고 단아한 용모는 당대 우리 버들류 씨 문중에서 견줄 이없이 뛰어난 천재로 불렸던 분이다.
지방에는 비록 학생으로 기록되지만, 나는 그게 오히려 부끄럽기는커녕, ‘아버지답다’는, 역설적 미학으로 이해한다. 어쩌면 당신께선, 무엇인가를 이루려고 하거나, 되려고 하는, 부질없는 인간적 한계를 벌써부터 갈파하셨던 것은 아닐까.
나는 이때껏 당신만큼 멋지고, 당신만큼 겸허한 사람을 만나지 못했다. 당신께서는 학자적 여유와 분별 있는 풍류로 뭇 여성의 가슴을 애타게 하셨는데, 그분의 본질 속에는, 쉽게 범접할 수 없는, 청아한 기백이 살고 있었다. 어쩌면 그것은, 변증을 통한 사유와, 인생의 깊은 통찰에서 생성된, 인식의 그 무엇이 아니었을까.
상대적으로 삶이 고달플 수밖에 없었던 어머님이, 가끔씩 푸념조로 쏟은 불만은, 이제 나이 들어 되짚어 볼진대, 아버지의 삶을 지배한, ‘역마살’과 ‘바람의 넋’이었단 생각이 든다.
아버지는 내 수필〈만가〉에도 구체적으로 나오지만, 당신처럼 자유, 그 차제였던 분도 없으리라.
철들면서 왠지 나는, 아버지처럼 생을 사랑하면서도 달관한 남자를 좀체 다시 만나기 어려울 것 같은 예감을 했었다. 늘 당당했고 젊고 푸르렀던 아버지는 이상하게도 한 마리 거대한 새를 연상시켰었다. 멀리, 높이 날기 위해 부단히 비상을 시도하는, 그래서 인생에 잘못 불시착한 외로운 한 마리 큰 새를.
혹자는 나의 이런 생각을 오이디푸스 콤플렉스라고 비웃을지도 모른다. 아무러면 어떠랴. 그런데, 4남매 중에서, 아버지의 그런 기질이나 취향을 유난히 많이 닮은 게 바로 나다. 미당 서정주 선생의 시에, 8할이 바람이었다고 했지만, 내겐 9할이 바람이라 해도 과하지 않을 것 같다.
나는 늘, 가슴속에서 바람이 분다. 종횡으로, 일진광풍으로, 때로는 미풍이나 소슬바람으로……. 내 마음은 거의 잔잔한 날이 없다. 불혹의 언덕에 올라선 지금까지, 살찐 적이 별로 없는 것도, 가슴 깊은 데서 부는, 지배할 수 없는 바람 때문에, 가슴을 깎으며 피 흘리고 살아 그런 건 아닐까. 바싹 마른 가랑잎처럼, 언제나 완전 연소를 꿈꾸는 자세로, 가슴속엔 내 자신이 관장할 수 없는 바람이 분다.
그래서 난, 이런 기질이나 성품에 어울리는 새가 되고 싶다. 아마 태어날 때 하느님께서 잠깐 조시다가 조류로 분류할 걸, 인류 쪽으로 점지하신 게 틀림없으리라. 진원을 알 수 없는, 천형의 운신인 이 바람은, 만일 내가 새로 태어났더라면, 끝없이 자유롭게 비상하며 살았으리란 공상을 하게한다.
흰 깃을 유유히 너울거리며, 태평양이며 알프스 산정을 넘었을 것이다. 때로는 독수리처럼 높이 물새처럼 소근대며, 갈매기처럼 사랑하며…… 가끔은, 저 고비 사먹을 횡단하는 할단 새처럼, 작열하는 태양 밑을 뜨거운 의지로 횡단했을 것이다.
이제까지 쌓아올린 삶을 송두리째 고스란히 남기고, 타이티 섬으로 실종(?) 됐던 폴고갱을 이해한다. 그의, 예술과 삶에 대한 가치의 초월을 무시로 동경하는, 내 의식 깊은 곳 어디쯤에서, 참회하듯 이글거리며 타고 있는, 이 자유의 의지……. 무엇에도 속박되고 싶지 않은, 그러면서도 끝없이 떠나고 싶은 소망. 대체 이 연원은 무엇일가.
아직도 출근시간이면, 달리는 차 속에서 영영 이대로 사라져 버리고 싶은 충동을 누르며, 매양 가슴을 졸이는 내 핏줄 속에는, 어쩌면 아버지가 지녔던 노진한 ‘바람의 넋’이 그대로 유전된 게 아닐까. 정녕, 나는 근원도 모른 채 불고 있다.
이 고단하고 곤비한 살의 무게가, 두 발을 족쇄처럼 감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창망한 하늘을 우러를 때마다, 한 마리 작은 새이고 싶은 열망으로 부질없이 술렁인다. 어쩌면 나에겐, 보헤미안이나 집시의 넋, 아미면 시원을 할 수 없는 바람의 혼이 씌운 모양이다. 때때로 이런 생각에 잠기곤 한다.
가을날, 산골짜기를 파스텔 색조로 물들이는 저녁 안개처럼, 감미로운 우수로 나를 감싸는 이 천형의 허무야말로, ‘자유’를 궁극의 고향집으로 남긴 채 떠도는 미망과 번뇌의 덫이 아닐까 어디고 정착하거나 뿌리 내리길 두려워하며, 그 어떤 것도 집착하거나 탐닉하지 않으려는 무소유의의지는…. 그래서, 가진 것이라곤 빈약한 육신 하나뿐이면서도, 비교적 마음이 넉넉한 나의 이 이율배반이여.
아직도 ‘새’를 꿈꾸는, 영원히 자유인이길 꿈꾸는 내 의지는, 그러기에 나머지의 목숨도, 가늠하기 벅찬 설렘으로 방황할게 너무나 뻔하다. 오! 자유의 매혹이여. 스러져 버리지 않을, 존재의 향기여.
'수필 읽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돌의 미학 / 조지훈 (0) | 2019.12.28 |
---|---|
삼도내의 돌탑 / 송규호 (0) | 2019.12.24 |
흙을 밟고 싶다 / 문정희 (0) | 2019.12.21 |
깃들이다 / 김은주 (0) | 2019.12.16 |
벽지 속으로 머리를 집어넣었다 / 홍정현 (0) | 2019.12.16 |
- Total
- Today
- Yesterd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