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습득 코너

아직 늦지 않았으니 / 한효순

부흐고비 2011. 4. 14. 11:01

 

아직 늦지 않았으니


지나간 잘못이야 어쩔 수 없지만
앞으로의 일은 만회하기에 늦지 않았다.
東隅之逝, 雖不可追, 而桑楡之失, 補之非晩。
동우지서, 수불가추, 이상유지실, 보지비만。
<경상감사가 적장에게 보낸 답신[慶尙監司答賊將書]>《선조실록(宣祖實錄)》선조27년(1594)8월 30일조

[해설]
위 글은 임진왜란 무렵 경상감사[한효순(韓孝純)으로 추정됨]가 일본 대마주(對馬州) 태수 풍신의지(豊臣義智)에게 보낸 답신에 나오는 말입니다. 한반도를 초토화시킨 대전란은 일단락되었지만 아직 전운이 감돌던 당시, 중국이 나서서 양국의 화친을 추진하던 중이었습니다. 풍신의지가 보내온 편지 내용은 전란의 책임을 일본 본토와 우리나라에 전가하기에 급급하고, 구구절절 자신들의 무죄를 변명하여, 오직 차후의 불이익을 모면하려는 것이었습니다. 이에 대해 경상감사는 질책을 최대한 자제하고 시종 회유하는 말로 일관하다가, 위의 구절로써 일침을 놓고 글을 맺었습니다.

처음의 실수를 나중에 만회하는 것을 ‘상유지수(桑楡之收)’라고 합니다. 이는 중국 동한(東漢) 때 풍이(馮異)가 적미(赤眉) 군사를 효산(崤山) 아래에서 대파하자 광무제(光武帝)가 치하하는 글을 내리기를 “동우에서는 잃었지만 상유에서 거두었다고 할만하다.[可謂失之東隅 收之桑楡]” 하였다는 고사에서 유래합니다.

동우(東隅)는 동쪽 모퉁이로 해가 뜨는 곳이고, 상유(桑楡)는 뽕나무와 느릅나무로 이들 나무 끝에 서쪽 해가 남아 있다고 하여 해가 지는 곳을 가리킵니다. 따라서 동우와 상유는 일로는 처음과 끝이 되고 인생으로는 초년과 노년이 되므로, 옛사람의 글에 다양한 의미로 많이 인용되고 있습니다.

이번 일본 동북대지진과 원전의 재해는 전 세계를 비통과 공포에 몰아넣었습니다. 물론 재해의 원인을 깊이 살피고 장차 발생할 재난을 대비하는 것은 우리 모두의 과제입니다만, 당사자인 일본은 과학 연구 성과도 경제력도 세계에서 우위를 점하고 있는 만큼, 자국의 능력을 최대한 발휘하여 반드시 ‘상유지수’를 얻기를 기대해봅니다.

글쓴이 : 오세옥(한국고전번역원)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