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잃어버린 동화 / 박문하1
가을비가 스산히 내리는 어느 날 밤이었다. 이미 밤도 깊었는데 나는 비속에서 우산을 받쳐 들고 어느 골목길 한 모퉁이 조그마한 빈 집터 앞에서 화석처럼 혼자 서 있었다. 며칠 전까지만 해도 이 곳에는 오막살이 초가 한 채가 서 있었던 곳이다. 와보지 못한 그 새, 초가는 헐리어져 없어지고, 그 빈 집터 위에는 이제 새로 집을 세우려고 콘크리트의 기초 공사가 되어져 있었다. 사랑했던 사람의 무덤 앞에 묵연히 선 듯, 내 마음과 발걸음은 차마 이 빈 집터 앞에서 떨어지지가 않았다.
웅장미를 자랑하는 로마 시대의 고적도 아니요, 겨레의 피가 통하는 백제, 고구려나 서라벌의 유적도 아닌, 보잘 것 없는 한 칸 초옥이 헐린 빈 터전이 이렇게도 내 마음을 아프게 울리어 주는 것은 비단 비 내리는 가을밤의 감상만은 아닌 것이다.
지난 몇 해 동안에 나는 몹시 마음이 외로울 때나, 술을 마신 밤이면 혼자서 곧잘 이 곳을 찾아 왔었던 것이다. 밖에서 밤늦게까지 술을 마시고는 통금 시간이 임박해서도 이 초가 앞을 한 번 스쳐가지 않으면 잠이 잘 오지 않는 때가 많았다. 그러면서도 나는 아직 이 초가집 주인이 무엇을 하는 사람인지, 그 가족들이 어떤 사람들인지를 잘 모르고 있다.
내가 이 초가집을 처음으로 알게 된 것은 지금으로부터 약 45년 전의 일로서, 그 때 나는 국민학교 1학년생이었다고 생각된다. 내 형제들은 3남 2녀가 되지만 모두가 그 때 중국 땅에 망명을 가서 생사를 모르던 때이다.
홀어머니는 막내아들인 나 혼자만을 데리고 남의 집 삯바느질로 겨우 연명을 해가고 있었다. 어느 날 어머님이 갑자기 병이 들어서 두 달 동안을 병석에 앓아눕게 되었다. 추운 겨울철이었기 때문에 우리 모자는 그야말로 기한에 주리고 떨게 되었었다. 이웃 사람들이 이 딱한 꼴을 보다 못해서 나를 호떡 파는 곳에다가 취직을 시켜 주었다. 낮에는 주린 배를 움켜잡고서 그래도 학교엘 나가고, 밤에는 호떡 상자를 메고 다니면서 밤늦게까지 호떡을 팔면 겨우 그 날의 밥벌이는 되었던 것이다.
어느 날 밤 나는 호떡 상자를 어깨 위에 메고서는 '김이 무럭무럭 나는 맛좋은 호떡 사이소. 호떡' 하고 외치면서 골목길을 지나가고 있었다. 마침 길가에 있던 조그마한 초가집 들창문이 덜커덩 열리더니 거무스레한 중년 남자의 얼굴이 불쑥 나타났다.
"호떡 5전 어치만 주가."
중년 남자는 돈을 쥔 손을 쑥 내밀었다. 어스름 램프불이 졸고 있는 좁은 방 안에는 나보다 나이 어린 두 오누이가 있었고, 그 옆에는 어머님인 듯한 중년 부인이 바느질을 하고 있었다. 호떡 한 개 값은 1전이고, 5전 어치를 한꺼번에 사면 덤으로 한 개씩 더 끼워서 주던 때였다. 중년 남자는 호떡 여섯 개를 받아서는 오누이에게 각각 두 개씩을 나누어 주고는 나머지 두 개 중에서 한 개를 중년 부인에게 주었다. 그리고는 덜커덩 창문이 닫히고 말았다. 창문의 닫힌 방 안에서는 도란도란 정겨운 이야기 소리와 함께 네 식구들이 호떡 먹는 소리가 잔잔하게 들려왔다.
나는 어릴 때 한 번도 이러한 가족적 분위기를 맛본 일이 없었다. 일찍이 유복자로 이 세상에 태어나서 아버지의 사랑이 어떤 것인지, 또 두 형제간의 정이 어떤 것인지도 모르는 애정 실조증에 걸리어 홀어머님 밑에서 살인적인 가난과 갖은 고생을 겪으면서 자라난 나에게 이날 밤 초가집의 흐뭇한 가족적 분위기는 나에게 있어서 뼈에 사무치도록 부럽고도 그리운 광경이었다.
이 때부터 나의 머릿속에는 이 초가집 풍경이 행복하고 화목한 가정의 상징으로서 판이 박혔고, 내 몸과 마음이 외로울 때 가만히 눈을 감으면 호박꽃 같은 램프불이 피어 있는 그 창문이 머릿속에 떠오르고, 그 속에서 도란도란 정겨운 이야기 소리와 함께 호떡 씹는 소리가 잔잔히 들려오는 것이었다. 이것이 원이 되고 한이 되어, 내 형제들은 왜놈들 치하에서 모두가 가정을 버리고 놈들의 철창 속에서, 또는 이역 땅 망명의 길에서 숨져갔지마는, 나 혼자만이 비겁하게도 어떻게 하여서라도 집을 지키면서 어머님을 뫼셔 알뜰한 가정을 한 번 가져보고 죽겠다고 오늘날까지 몸부림을 쳐왔던 것이다.
그 때로부터 40여 년의 세월이 탁류로 흘러가 버린 지금, 나는 초가집보다는 몇 배나 더 큰 '콘크리트' 집을 가지게 되었고 많은 가족들을 거느리게 되었지마는, 어쩐지 아직까지도 그날 밤의 그 초가집 창가의 광경이 자꾸만 그리워지는 것은 무엇 때문일까? 근년에 사랑하는 큰 자식놈을 불의의 사고로 잃어버리고, 이따금씩 아내마저 그 거리가 무척 멀어져 가는 밤이면 나는 혼자서 술을 마시고는 곧잘 이 초가집 창가를 찾아왔던 것이다. 그러면 호박꽃 같은 램프의 불이 피어 있는 초가집 창가에서는 40여 년이 지난 지금에도 언제나 도란도란 이야기 소리와 함께 호떡을 씹는 소리가 그 방에서 잔잔히 들려오는 것이었다.
그러나 이제는 그리운 내 동화 속의 이 초가집도 헐려져 간 데 온 데 없어졌고 스산한 가을비가 내리는 이 외로운 밤을 나는 혼자서 진정코 어디로 가야만 한단 말인가?
- 박문하: 1917~1975. 의사이며, 수필가 호는 우하, 수필집으로는 '배꼽 없는 여인', '인생의 쌍화탕', ' 약손', '낙서인생' 등 다수 있음 [본문으로]
'수필 읽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동백의 씨 / 고동주 (0) | 2020.04.11 |
---|---|
혼자서 부르는 합창 / 김미정 (0) | 2020.04.11 |
남한산성 풀벌레 / 김영웅 (0) | 2020.04.09 |
나무와 채송화 / 류인혜 (0) | 2020.04.06 |
우물 / 류인혜 (0) | 2020.04.06 |
- Total
- Today
- Yesterd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