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수필 읽기

조선의 영웅 / 심훈

부흐고비 2020. 6. 14. 17:00

우리집과 등성이 하나를 격한 야학당에서 종치는 소리가 들린다. 우리집 편으로 바람이 불어오는 저녁에는 아이들이 떼를 지어 모여 가는 소리와, 아홉 시 반이면 파해서 흩어져 가며 재잘거리는 소리가 들린다. 이틀에 한 번쯤은 보던 책이나 들었던 붓을 던지고 야학당으로 가서 둘러보고 오는데 금년에는 토담으로 쌓은 것이나마 새로 지은 야학당으로 가서 둘러보고 오는데 금년에는 토담으로 쌓은 것이나마 새로 지은 야학당에서 남녀 아동들이 80명이나 들어와서 세 반에 나누어 가르친다. 물론 5리 밖에 있는 보통 학교에도 입학하지 못하는 극빈자의 자녀들인데 선생들도 또한 보교를 졸업한 정도의 청년들로, 밤에 가마니때기라도 치지 않으면 잔돈 푼 구경도 할 수 없는 처지에 있는 사람들이다.

그러나 그네들은 시간과 집안 살림을 희생하고 하루 저녁도 빠지지 않고 와서는 교편을 잡고 아이들과 저녁내 입씨름을 한다. 그 중에는 겨울철에 보리밥을 먹고 보리도 떨어지면 시래기죽을 끓여 먹고 와서는 이밥이나 두둑이 먹고 온 듯이 목소리를 높여 글을 가르친다. 서너 시간 동안이나 칠판 밑에 꼿꼿이 서서 선머슴 아이들과 소견 좁은 계집애들과 아귀다툼을 하고 나면 상체의 피가 다리로 내려 몰리고 허기가 심해져서 나중에는 아이들의 얼굴이 돋보기안경을 쓰고 보는 듯하다고 한다. 그러한 술회를 들을 때, 그네들을 직접으로 도와 줄 시간과 자유가 아울러 없는 나로서는 양심의 고통을 느낄 때가 많다. 표면에 나서서 행동하지 못하고 배후에서 동정자나 후원자 노릇을 할 수밖에 없는 처지에 놓여 있기 때문에 곁의 사람이 엿보지 못할 고민이 있다. 그네들의 속으로 벗고 뛰어들어서 동고동락을 하지 못하는 곳에 시대의 기형아인 창백한 인텔리로서의 탄식이 있다.

나는 농촌을 제재로 한 작품을 두어 편이나 썼다. 그러나 나 자신은 농민도 아니요 농촌 운동자도 아니다. 이른바, 작가는 자연과 인물을 보고 느낀 대로 스케치판에 옮기는 화가와 같이 아무것에도 구애되지 않는 자유로운 처지에 몸을 두어 오직 관조의 세계에만 살아야 하는 종류의 인간인지는 모른다. 또는 눈에 보이는 그대로의 현실 세계에 입각해서 전적 존재의 의의를 방불케 하는 재주가 예술일는지도 모른다.

그러나 물 위에 기름처럼 떠돌아다니는 예술가의 무리는, 실사회에 있어서 한 군데도 쓸모가 없는 부유층에 속한다. 너무나 고답적이요 비생산적이어서 몹시 거추장스러운 존재다. 시각의 어느 한 모퉁이에서 호의로 바라본다면 세속의 누를 떨어 버리고 오색구름을 타고서 고왕독맥하려는 기개가 부러울 것도 같으나 기실은 단 하루도 입에 거미줄을 치고는 살지 못하는 유약한 인간이다.

'귀족들이 좀더 젠체하고 뽐내지 못하는 것은 저희들도 측간에 오르기 때문이다.'라고 뾰족한 소리를 한 개천의 말이 생각나거니와 예술가라고 결코 특수 부락의 백성도 아니요, 태평성대의 일민도 아닌 것이다.

적지않이 탈선이 되었지만 백 가지 천 가지 골이 아픈 이론보다도 한 가지나마 실행하는 사람을 숭앙하고 싶다. 살살 입살 발림만 하고 턱 밑의 먼지만 톡톡 털고 앉은 백 명의 이론가, 천 명의 예술가보다도 우리에게 단한 사람의 농촌 청년이 소중하다. 시래기죽을 먹고 겨우내 '가갸 거겨'를 가르치는 것을 천직이나, 의무로 여기는 순진한 계몽 운동자는 히틀러, 뭇솔리니만 못지않은 조선의 영웅이다.

나는 영웅을 숭배하기는커녕 그 얼굴에 침을 뱉고자 하는 자이다. 그러나 이 농촌의 소영웅들 앞에서는 머리를 들지 못한다. 그네들을 쳐다볼 면목이 없기 때문이다.


 

심훈(1901~1936): 소설가, 시인. 본명은 대섭. 서울 출생. 상해 원강 대학 중퇴. 중앙일보 학예부장 역임.오늘날도 널리 읽히는 농촌 계몽 소설 "상록수"의 작가. 그는 당시의 선각자들이 거의 그러했듯이 '조선 민중의 구원'을 늘 염원했던 민족주의자였다. 3.1운동에 참가하여 복역한 후 상해에서 망명 생활을 했고 귀국 후 신문 기자 생활을 하다가 영화에 투신, 1926년에 "먼동이 틀 때"를 각색, 감독하는 정력적인 활동을 보여 주었다. "상록수"는 충남 당진으로 잠적하여 쓴 것으로 동아일보 현상모집의 당선작인데, 당시의 시대상을 여실히 반영시켜 크게 반향을 일으켰던 작품이다.

'수필 읽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요한 우물 / 김귀선  (0) 2020.07.02
골목 / 최민자  (0) 2020.06.14
7월의 바다 / 심훈  (0) 2020.06.14
해지 / 정은아  (0) 2020.06.13
시각적 산문 / 이춘희  (0) 2020.06.13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