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습득 코너

책 읽는 소리 / 정민

부흐고비 2008. 3. 2. 09:12

 

책 읽는 소리

 

 

청나라 때 김성탄의 "쾌설"은 세상 살아가며 통쾌한 장면을 하나씩 떠올려 적은 33칙으로 된 글이다. 그 가운데 "자제들이 글 외우는 소리가 유창하여 마치 병 속의 물을 따르는 것만 같으니 또한 통쾌하지 아니한가?"란 것이 있다. 어린 것이 어느새 글을 익혀 그 어려운 글을 줄줄 읽을 때 과연 흐믓하지 않을 어버이가 어디 있을까?

 

옛날의 독서는 눈으로 읽지 않고 소리로 읽는 독서였다. 서당에서는 낭랑하게 목청을 돋워 가락에 맞추어 책을 읽었다. 선생님은 좌우로 몸을 흔들고, 학생은 앞뒤로 흔들며 읽었다. 낭랑한 책 읽는 소리는 듣는 이의 마음을 상쾌하게 한다. 그렇게 읽다 보면 그 가락이 저도 모르는 사이에 뇌리에 스며 들어, 뜻을 모르고도 글을 외울 수 있었다. 의미는 소리에 뒤따라 왔다.

 

아이들은 어려서부터 사랑채에서 들려오는 어른들의 글 읽는 소리를 들으며 자랐다. 총명한 아이들은 그 소리를 듣고 배우지도 않은 글을 외웠다. 머리가 나쁘기로 유명했던 김득신은 백이열전을 1억1300번이나 외워, 그 호를 억만재라고 했다. 말을 타고 가면서도 백이열전을 외웠는데, 그렇게 많이 외운 백이열전을 중간에 깜빡 잊어 버렸다. 그러자 곁에서 고삐를 잡고 있던 하인이 막힌 부분을 외워 주었다. 하도 많이 들어서 뜻도 모르고 외웠던 것이다. 머쓱해진 김득신은 네가 나보다 똑똑하니 내 대신 말을 타고 가라며 종을 태우고 자신이 고삐를 잡고 갔다.

 

외우고 또 외우고, 읽고 또 읽었다. 독서백편의자현이라고, 그렇게 소리를 내서 읽다 보면 어느 순간 의미가 들어왔다. 그렇게 논어를 외우고 맹자를 외웠다. 이렇게 얻은 의미는 평생을 따라 다녔다. 강박은 "국포집"에서 "구양독서법"이란 글을 소개하고 있다. "글자의 수를 헤아려 보았더니, 효경은 1,903자, 논어는 1만1750자, 맹자는 3만685자, 주역은 2만4107자, 서전은 2만5700자, 시경은 3만9234자, 예기는 9만9010자, 주례는 4만5806자, 춘추좌전은 19만6845자였다. 날마다 300자 씩 외우면 4년 반이면 다 마칠 수가 있다. 조금 우둔한 사람이라 반으로 줄여 외운다 해도 9년이면 다 외울 수가 있다." 오! 이 단순하고 무식함이여. 외우는 데야 당할 장사가 없다.

 

이웃 집의 젊은이가 매일 밤 밤을 새워 글을 읽으면 옆 집 처녀는 공연히 마음이 설레었다. 도대체 어떤 젊은이일까? 옛 문헌설화 속에는 옆집 청년의 글 읽는 소리에 마음을 빼앗긴 처녀가 담을 뛰어 넘는 이야기가 심심찮게 나온다. 정인지의 글 읽는 소리에 반한 옆집 처녀가 담 사이로 그를 엿보고 흠모의 정을 품었다. 어느 날 밤 담을 넘어 방으로 뛰어들자,

 

정인지는 그녀를 타일렀다. 그녀는 막무가내로 소리를 질러 사람들에게 알리겠다고 협박했다. 그는 밝은 날 모친에게 말씀 드려 정식 혼인의 절차를 밟아 맞이 하겠노라며 약속한 후 처녀를 달래어 돌려보냈다. 이튿날 그는 어머니에게 이 일을 이야기하고 이사를 가 버렸다. 처녀는 상사병으로 죽었다.

 

조광조에게도 이런 이야기가 전한다. 낭랑한 독서성에 반한 처녀가 담을 넘었다. 조광조는 회초리로 종아리를 때려 돌려보냈다. 그녀는 잘못을 뉘우치고, 훗날 다른 집안에 시집갔다. 기묘사화 때 그 남편이 조광조를 해치려 하자 그녀는 자신의 젊은 시절 일을 이야기하며 조광조를 해치지 못하게 했다. 심수경과 김안국, 그리고 상진에게도 이런 이야기가 전해진다. 모두 다 책 읽는 소리 때문에 생긴 아련한 옛날의 이야기들이다.

 

알베르토 망구엘의 "독서의 역사"를 읽어보니 중세 유럽에서도 책은 반드시 소리를 내서 읽었다. 암브로시우스가 묵독하는 것을 본 아우구스티누스는 상당한 충격을 받았던 것으로 전해진다. 눈으로만 읽는 묵독은 요사스럽게 보이기까지 했던 모양이다. 경전을 읽으면서 신성함을 놓치지 않으려면 문장의 가락에 맞춰 몸을 흔들고 성스런 단어들은 입을 크게 벌려 소리내어 읽어야 한다고 이들은 믿었다. 그래야만 책장에 쓰여진 죽어 있던 단어들이 날개를 달고 훨훨 날아올라 의미화 된다고 여겼다.

 

동양에서도 옛 사람의 글을 소리 높여 되풀이 해 읽다 보면 옛 사람의 성기가 내 목구멍과 입술에 젖어 들어, 글을 쓰면 옛 사람의 기운이 절로 스며들게 된다고 생각했다. 글을 배우는 사람에게는 이런 "인성구기"의 방법이 적극 권장되었다. 백독, 천독의 목표를 세워 한 겨울을 산사에서 나곤 했다. 한번 읽을 때마다 하나씩 뒤집어서 읽은 회수를 표시하는 서산은 어느 집에나 있었다.

 

이제 책 읽는 소리는 뚝 그쳤다. 한글을 갓 깨친 어린아이들이나 떠듬떠듬 소리를 내어 글을 읽는다. 소리를 내어 읽어 상쾌한 리듬을 느낄 글이 더 이상 없기 때문일까? 달 밝은 밤 옆집 총각의 낭랑한 독서성에 가슴을 두근대던 처녀들의 설레임이 새삼 그립다.

 

정 민 (한양대 교수)

'습득 코너'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도인도송 / 국선도  (0) 2008.03.04
[유머] 닭장사의 외침  (0) 2008.03.04
심청의 유서 / 마희숙  (0) 2008.03.01
위대한 순간 / 장영희  (0) 2008.02.28
규정기 (葵亭記) / 조위  (0) 2008.02.27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