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시원한 샘물
남북행인갈 南北行人暍 오가는 행인 더위에 지쳤는데
한장당로방 寒漿當路傍 시원한 물을 길가에서 만났네
작천능윤국 勺泉能潤國 조그만 샘물 온 나라를 적시니
재배내감상 再拜迺堪嘗 두 번 절하고야 맛볼 수 있네
- 이규보(李圭報 1168~1241) <시원한 샘물[寒泉]> 《동국이상국집(東國李相國集)》(한국문집총간 2집)
[해설]
고려시대 대문장가인 이규보가 길을 가다 지은 두 편의 시 중 한 편입니다.
작은 샘물은, 우뚝 솟은 산봉우리처럼 벅찬 감동을 주지도 않고, 도도히 흐르는 강물처럼 가슴을 일렁이게 하지도 않습니다. 그래서 흔히들 무심코 지나치곤 합니다.
그러나 더운 여름 지친 행인에게 진정으로 필요한 것은 거창한 그 무엇이 아닌 바로 시원한 물 한 잔일 것입니다.
요즘은 큰물에 비유될 만큼 많은 것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이 많지만, 그 많은 물들이 어떻게 사용되는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그저 무심히 흘려보내기만 하지는 않는지? 목마르고 지쳐 쓰러진 사람들에게 한 잔씩 나누어 줄 수 있다면, 우리 주변에 갈증을 느끼는 사람이 그만큼 줄어들 수 있을 텐데요. 나는 누구의 샘물이 될 수 있을까, 옆을 한 번 돌아보면 좋겠습니다.
혹은, 이규보가 지은 나머지 한 편처럼 길가의 나무가 되는 것도 좋겠지요.
큰 나무[大樹]
호시염천게 好是炎天憩 더운 날씨에 쉬기 좋고
의어급우차 宜於急雨遮 소낙비 피하기도 좋아라
청음일산허 淸陰一傘許 시원한 그늘 양산만 하니
위황역운다 爲貺亦云多 주는 혜택이 또한 많구나
글쓴이 : 이정원(한국고전번역원)
'습득 코너'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구학(舊學)이 신학(新學)에게 묻는다 (0) | 2011.06.20 |
---|---|
적은 내부에 있다 (0) | 2011.06.17 |
조선시대판 신고식 문화, 신참례(新參禮) (0) | 2011.06.15 |
무송의 성공은 범에게 달렸다 / 김정길 (0) | 2011.06.14 |
인생이란 선택이다 / 성현 - ♪영화 여인의 향기 (0) | 2011.06.09 |
- Total
- Today
- Yesterd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