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수필 읽기

배꼽 석굴암 / 김형윤

부흐고비 2020. 10. 7. 16:35

2020 경북문화체험 전국수필대전 장려상

제2라는 말이 슬쩍 거슬렸다. 그래도 내친김이라 차는 한티재를 거쳐 어느새 팔공산 터널을 통과하고 있다. 말로만 듣던 군위 석굴암은 대구에서 그리 멀지 않은 곳에 있었다.

석굴암이라고 하면 신라 경덕왕 때 만들어진 경주 석굴암이 먼저 떠오른다. 하지만 그보다 1세기 전에 만들어진 석굴암이 군위군 부계면 남산리에 있다. 군위 삼존석굴은 국보 제109호로 지정된 통일 신라 초기의 석굴암이다. 경주 석굴암이 먼저 발견되어 유명해지는 바람에 제2석굴암이라는 별칭을 얻게 되었다. 형이 동생이 돼버린 셈이니 군위 석굴암으로서는 억울할 법도 하겠다. 사물의 이름은 대상의 정체성을 나타낸다. 삼존석굴에 알맞은 새로운 이름이 붙여지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삼존석굴은 팔공산 비로봉에서 북쪽으로 뻗어 내린 암벽에 자리하고 있다. 깎아지른 절벽 아래로 둥근 구멍이 눈에 들어왔다. 멀리서 보기에 그리 크지 않은 모습이다. 그 안쪽으로 그늘진 세 부처의 모습이 어렴풋이 보였다. 가까이 가서야 석굴로 접근할 수 있는 계단이 막혀있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얼마 전까지만 해도 계단으로 올라가 동굴 안을 직접 볼 수 있었다고 한다. 모전석탑이 있는 아래쪽에서 석굴을 올려다볼 수밖에 없다. 부처는 지고의 경배 대상이니 그것이 마땅한 일일지 모른다. 신을 향한 간절함이 석굴을 더 깊어지게 했을까. 알 수 없는 신비스러움이 둥글게 번져간다.

검색 사진을 통해 본 석굴 내부는 다락방처럼 안온하게 보였다. 중앙에는 엄숙한 표정의 아미타불이 앉아있고, 좌우에는 관세음보살과 대세지보살이 시립 해 있다. 이 땅에 고통받는 중생들을 구원하려고 삼존불이 동굴 회의를 하는 중일까. 세상을 품은 자비로운 기운이 전해진다. 오랜 시간 동안 풍화된 거무스름한 암석에서 부드러운 온기가 느껴졌다.

멀리 있는 앙증맞은 구멍이 왠지 낯설지 않았다. 눈을 지그시 감으니 어린 시절 시골집이 그려졌다. 울타리를 따라 붉은색 접시꽃이 하늘을 향해 조롱조롱 피었다. 나는 맨발로 마당을 뛰어다니며 놀았다. 잔병치레가 잦았던 나는 초등학교에 들어갈 때쯤, 심한 열과 설사로 며칠 동안 앓아누웠다. 원인을 알 수 없는 토사곽란이라고 했다. 병원이 멀기만 했던 시절이니 손도 못 쓰고 어머니는 얼마나 애가 탔을까. 사람들은 무당을 부르라고 야단이었지만 당신은 굿을 원치 않으셨다.

심한 갈증 속 잠결에 물방울이 내 얼굴에 떨어지는 걸 느꼈다. 눈을 떠보니 어둠 속에서 어머니가 내 손을 잡고 있었다. 당신의 간절한 기도 덕분인지 점차 열이 내려가기 시작했다. 어머니는 고소한 참기름을 떨어뜨린 흰죽을 내 입에 넣어주었다. 그 후 설사도 멈추고 다시 얼굴에 화색이 돌아왔다.

어머니는 네 아이를 키우며 집안일과 아버지의 일을 돕느라 늘 분주했다. 내가 아플 때만 어머니는 내 차지가 되었다. 배앓이를 할 때, 어머니는 내 엄지손가락을 실로 칭칭 감고서 손톱 위를 콕 따주었다. 검붉은 피가 나왔다. 많이 체한 거라며 따뜻한 손으로 내 배를 동그랗게 쓰다듬어 주었다. “엄마 손은 약손, 아기 배는 똥배….”잠들지 못하고 내가 눈을 말똥말똥 뜨고 있으면 호랑이가 나오는 해님, 달님 이야기나 아버지 눈을 뜨게 한 심청이 이야기를 들려주었다. 배꼽을 내놓고 자면 안 된다고 발로 차버린 이불을 어머니가 꼭꼭 눌러 덮어주었다. 부드러운 음성이 차츰 멀어지고 심청이가 인당수에 빠지기도 전에 나는 어머니 무릎에서 잠이 들곤 했다.

다시 고개를 드니 카메라 줌인을 한 것처럼 갑자기 동굴이 눈앞으로 쓱 다가왔다. 석굴암이 나를 보고 환하게 웃는다. 아래로 뻗은 검은 바위가 여인의 허리처럼 미끈해 보였다. 어릴 적 접시꽃 마당처럼 친숙하게 다가왔다. 나도 모르게 손이 배를 향하였다. 천천히 원을 그리며 배를 문지르기 시작했다. 옛날 어머니가 그랬던 것처럼.

아! 그것은 배꼽이었다. 석굴은 안으로 쏙 들어간 배꼽이었다. 배꼽은 태아가 모태로부터 산소와 영양을 공급받는 탯줄의 흔적이다. 어머니의 사랑과 희생이 담긴 이름이다. 석굴은 인간과 신을 연결해주는 부처님의 배꼽이었을까. 인간의 정신적 지향점이자 신에게 다가가고 싶은 열망의 상징물처럼.

멀리서 바라본 석굴의 모습과 어머니의 따뜻한 손길이 오버랩 되었다. 문득 군위 석굴암을 ‘배꼽 석굴암’이라 부르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리스 델포이에는 배꼽이라고 부르는 돌이 있지만 아름다운 군위에는 배꼽 석굴암이 있다고 자랑할 수 있지 않을까.

모전석탑 앞 참배단에서 사람들이 무릎을 꿇고 절을 올리고 있었다. 갖가지 애틋한 소원과 가족의 안위를 염원하는 기도가 배꼽 석굴암을 향하고 있다. 우리의 힘든 삶을 위로하는 어머니의 사랑처럼 가없는 부처님의 자비가 햇살처럼 온 누리에 퍼지기를 기원하였다. 어디서 왔는지 빨간 잠자리 한 마리가 머리 위에서 동그라미를 그리며 날아다녔다.

 

 

수  상  소  감


말로만 들었던 제2석굴암을 찾아갔지만 눈앞에서 바로 볼 수 없었던 것이 행운이었는지 모릅니다. 넓은 평면 바위에 있는 동그란 구멍을 보면서 특별하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장난감처럼 앙증맞은 구멍이 신라인들의 기도처였다는 것이 믿을 수 없었습니다. 배꼽처럼 생긴 구멍이 나에게 상상의 나래를 펼치게 하였습니다. 델포이의 옴파로스를 떠올리며 이곳이 좀 더 유명한 유적지가 되었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곳에서 나는 따듯한 어머니의 손길을 느끼며 멋진 힐링의 시간을 보냈지만 아름다운 유적지를 표현하기에는 나의 표현력이 부족하다는 것을 절감했습니다.
부족한 글을 선정해 주신 심사위원님들께 감사드립니다. 함께 한 문우들과 신현식 선생님께도 감사를 전합니다. 좋은 글을 쓸 수 있도록 앞으로 더욱 노력하겠습니다.
△2015 대구은행 여성백일장 장원 △2018 고모령 효 예술제 우수상

'수필 읽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진을 찍으려면 1,000번을 찍어라 / 정호승  (0) 2020.10.07
편지 / 백석  (0) 2020.10.07
청량대운도에 들다 / 김치주  (0) 2020.10.06
무종霧鐘 / 조옥상  (0) 2020.10.06
월정교 기둥 / 김양희  (0) 2020.10.05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