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eRdAFJ/btrH1agzS97/UCkXqjKmixCAZksAnl2m1K/img.jpg)
박성준 시인, 문학평론가 1986년 서울특별시에서 태어나 경희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교 대학원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2009년 《문학과사회》 신인문학상을 수상하며 시단에 나왔으며, 2013년 《경향신문》 신춘문예 평론부문에 당선되어 문학평론가로도 활동한다. 시집으로 『몰아 쓴 일기』, 『잘 모르는 사이』가 있다. 2015년 박인환문학상을 수상했다. 현재 '는' 동인. 물 / 박성준 종이는 단호해진다// 누구나 액자 파는 가게 앞이 한 번쯤 필요했던 것이다 민은 지나치게 지나친 요구를 한다 하소연이다 절취선처럼 늘어선 얼굴들과 이따금씩 돌발적인 모래바람은 주민들의 구멍 난 부위를 다 감추기에 모자랐다// 염려를 놓지 않아도 언젠나 부주의한 사람들은 곧 잘 사라진다 밤이면 그간의 것을 탕..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bIOEEs/btrHYLT3ezY/J374KKGH4hzC2tc0XQ8100/img.jpg)
이지아 시인 1976년 서울에서 출생하였다. 본명은 이현정. 중앙대학교 문예창작학과 박사과정 수료. 2000년 《월간문학》 신인상(희곡)을 수상하고, 2015년 《쿨투라》 신인상(시)을 수상했다. 시집으로 『오트 쿠튀르』, 『이렇게나 뽀송해』가 있다. 2022년 박상륭상을 수상했다. 강당과 직선 / 이지아 스웨터 털실이 하나 삐져나왔을 때, 겨울이 끝나고 있었다 팔짱은 옆에서 이루어지고, 의자는 아래에서 이루어진다 더 이상 차분하지 말아야 한다 생닭을 씻는다 다리를 벌리고 마늘을 넣고 대추를 넣는다 나는 배를 가르지 않고 배속으로 들어갈 수 있어 굳은 몸을 뒤져서 기저귀를 뺀다 냉담에 살코기가 생긴다 코털을 자를 때마다 다짐한다 아무 상관없이 살자던 사람은 눈을 감아도 보이지 않는다// 들판 위의 챔피언..
글이 도무지 써지지 않는다. 글쓰기와 멀어지지 않으려면 매일 무엇이든 써야 한다는 주위의 조언이 마음을 조급하게 만든다. 기껏 머리에서 떠올린 단어들은 제자리를 찾지 못해 맞춰지지 않는 퍼즐 같다. 글머리부터 티격태격하다 힘들게 조합한 문장은 무슨 말을 하려는지 알 수가 없다. 쓰고 지우길 반복한 날이 얼추 한 달은 지났다. 생각해 보니 아끼던 안경이 사라진 시기와 딱 들어맞는다. 한 달 전쯤이다. 십오 년 가까이 써온 자줏빛 뿔테 돋보기안경이 감쪽같이 자취를 감추었다. 아침나절 신문을 볼 때 사용한 것까지는 기억나지만 어디다 벗어두었는지 도통 알 수가 없었다. 넓지 않은 집안을 몇 날 동안 뒤져도 행방이 묘연했다. 여분의 돋보기는 두어 개 더 있지만 집에서 글을 읽고 쓸 때 늘 애용해 온 것이다. 긴 ..
집 뒤 공원 길섶에 두 마리 까치가 나풀댄다. 아직 찬바람에 버석대는 검불 여기저기를 쪼아댄다. 아침나절 창밖에서 소리치던 녀석이 이놈인가 싶어 살폈다. 살을 에는 추위에 한동안 자취를 감추더니 봄을 물고 와 부려 놓았다. 며칠 새에 산수유, 개나리가 엷은 꽃잎을 내밀었 고, 벚꽃 움이 곧 터질 기세다. 문득 까치는 한겨울을 어디서 보내다 온 걸까 궁금해진다. 날이 추워 지면 새들이 사라지는 걸 당연시해 온 탓에 의문을 품지 않았던 일이다. 철새처럼 남쪽 따뜻한 곳으로 피접 다닌다는 말도 들어본 적 없으니 더 그렇다. 삭풍 몰아치는 산기슭의 까치집을 쳐다보면서는 빈집일 거라는 생각을 늘 한다. 얼기설기한 갖춤새로는 엄동 한천을 이겨내지 못하리라 여겼기 때문이다. 봄날 출현하는 녀석은 어딘가 먼 데서 숨어..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dKEXsj/btrHRNRyjfF/42GdDJTdZUtIvg2ZIU2710/img.png)
서형국 시인 1973년 경남 창원에서 태어났다. 2018년 월간 《모던포엠》 최우수 신인상으로 등단. 공동 시집으로 『시골시인-K』(공저)가 있다. 全人文學 회원, 시나무 동인, 문학동인 volume 회원. 꽃이 꽃배달 하면 / 서형국 뒤틀린 왼팔로 바지춤을 내리고/ 꽃 흐드러진 들에다/ 시원하게 물을 뿌린다// 고추 모종 심는 아낙들 깔깔대다/ ㅡ올해는 고추농사 풍년이겠네// 꽃 한 다발 꺾어 쥐고/ 어눌한 발음으로/ ㅡ어바 어바바// 아랫도리 건수는 잊고서 환하게 웃는다// 다섯 살부터/ 나이를 꽃밭에 뿌린 총각// 그 남자// 분명/ 꽃집 총각이겠지// 온 동네/ 꽃밭/ 주인이겠지// 개고생 / 서형국 짤 만큼 짜낸 시를 탈수기로 돌리면/ 돌돌 원심력은 최대한 멀리 생각을 떨어냅니다/ 그러면 낡은 ..
나는 바람입니다. 소리로 존재하는 나는 바다를 끌어안고 파도를 일으키며, 숲 우거진 계곡에서 바위를 만나 계곡물과 어울려 조잘대고, 때로는 대나무의 결기와 인고의 세월을 댓바람 소리로 전하기도 합니다. 교회 첨탑의 종소리를 불 꺼진 움막까지 실어다 주고 새들의 울음소리를 숲 속 가득 실어 나르며 밤새워 뒤척이는 개울물 소리에 기대어 함께 울 때도 있지요. 당신은 문득 누군가 당신 곁에서 울고 있는 듯한 느낌이 든 적 없었나요? 내 손길이 닿는 빈 곳의 가락은 울음이 되거든요. 봄바람에 꽃잎에 비처럼 떨어질 때, 물기 하나 없는 낙엽이 발밑에서 부스스 부서져갈 때, 막연한 어느 겨울밤, 가로등 아래 흰 눈만 흩어져 내릴 때, 그럴 땐 내가 당신을 찾아간 것이라는 걸 기억해주기 바랍니다. 나는 바람입니다. ..
바람이 분다. 나뭇잎이 팔랑거린다. 바람은 어디서부터 불어와서 어디쯤서 사라지는가. 인생의 여름에서 한참 멀어진 지금, 아직도 잠재우지 못한 내 안의 바람이 마중을 나와 함께 일렁인다. 아이들 집에 머물 때 아침마다 산책로를 찾는 것은 꼭 운동을 위함이기보다는 일찍 잠에서 깨어 남아도는 식전시간을 주체할 수 없어서다. 오랜 습관으로 눈만 뜨면 직행을 하던 주방은 이곳에서만은 나의 영역이 아닐뿐더러 더운 여름날 아침부터 도를 닦는 사람처럼 책을 마주하고 앉았기도 좀 뭣하다. 생존의 전장으로 나가는 젊은이들의 부산한 하루의 시작을 방해하지 않으려고 나는 도둑고양이처럼 발소리를 죽여 가며 현관을 빠져나온다. 한강을 지척에 두고 서해바다가 멀지 않은 이곳은 바람이 많다. 바람 없는 날이 거의 없다. 겨울이면 냉..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ck0uZE/btrHPKozkWS/99JbTqohnC8eLkevrXkunK/img.png)
여정 시인 1970년 대구 출생. 계명전문대 경영학과 졸업. 1996년 《시와반시》 문예대학 수료. 1998년 《동아일보》 신춘문예을 통해 등단. 시집으로 『벌레 11호』가 있다. 시나인 회원. 자모의 검 / 여정 혹자가 말하길, 입속은 자객들의 은신처란다. 그들이 즐겨쓰는 무기는 '영혼을 베는 보검'으로 전해오는 자모의 검이란다. 을씨년스런 날이면 자객들은 검은 말을 타고 허허벌판을 가로질러 어느 심장을 향해 힘차게 달려간단다. 천지를 울리는 말발굽소리 어느 귓가에 닿으면 그들은 어김없이 이성의 칼집을 벗어던지고 자모의 검을 빼어든단다.// 바람을 가르는 소리 한 영혼의 목을 뎅거덩 자르고나면 자객들은 섬뜩한 미소로 조의금을 전하고 또 다른 심장을 향해 말 달려간단다. 그날에 귀머거리는 복 있을진저, ..
- Total
- Today
- Yesterd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