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를 잘 쓰는 16가지 방법 / 송수권1 ① 사물을 깊이 보고 해석하는 능력을 기른다. 지식이나 관찰이 아닌 지혜(지식+경험)의 눈으로 보고 통찰하는 직관력이 필요하다. ② 새로운 의미depaysment를 발견하고 그 가치에 대한 ‘의미 부여’가 있을 때 소재를 붙잡아야 한다. 단순한 회상이나 추억, 사랑 등 퇴행적인 관습에서 벗어나야 한다. ③ 머릿속에 떠오른 추상적 관념을 구체화할 수 있는 이미지가 선행되어야 한다. ‘시중유화 詩中有畵 화중유시畵中有詩’, 이것이 종자 받기(루이스)다. (이미지+이미지=이미저리→주제(가치와 정신)확정). ④ 이미지와 이미지를 연결하기 위하여 구체적인 정서의 구조화가 필요하다. 추상적 관념을 이미지로 만들고 정서를 체계화하기 위하여 ‘객관적 상관물’을 찾아내야 한다. 또..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YDr6g/btqT0tuDwAQ/YJ4D3f5AqDfxGFvKmCVaC0/img.jpg)
적게 고치고 다듬는 세 가지 전략 / 김영남 화초를 키우다 보면 두 가지 경우에 부딪친다. 하나는 화초의 싹이 처음부터 싱싱하고 튼튼해서 자라는 데에 별로 신경을 쓰지 않아도 나중에 예쁜 꽃봉오리를 절로 맺는 경우이고, 또 하나는 아무리 돌봐주고 신경을 써도 화초가 뜻대로 성장하지 않는 경우이다. 즉 화초의 장래가 처음부터 싹이 노란 것이다. 시 쓰기에도 화초의 이러한 감정법이 적용된다. 잘 가꾸면 보기 좋은 꽃이며 튼실한 열매를 가지가 휘도록 매달아줄 시가 있는가 하면, 가꾸어 보았자 애만 닳을 뿐 결코 좋은 열매를 볼 수 없는 시가 정해져 있다. 이 때문에 나는 초고를 써 놓은 다음에는 반드시 될성부른 나무인가부터 감정을 한다. 구조가 탄탄하고 가슴에 울림이 오는 녀석은 본격적인 다듬기에 들어가지만,..
시를 쉽게 쓰는 요령 / 김영남1 1. 상상하는 법을 익혀라 초보자들이 시를 쓸 때 제일먼저 봉착하는 것이 어떻게 시를 써야하며, 또한 어떻게 쓰는 게 시적 표현이 되는 것일까 하는 점입니다. 필자도 초보자 시절 이러한 문제에 부딪혀 이를 극복하는 데에 거의 10년이 걸렸습니다. 그 동안 무수한 시행착오를 거듭했던 거죠. * 시에 대한 고정관념을 버려라 필자가 이와 같이 시행착오를 거듭했던 이유는 시란 '자기가 경험했고, 보고 느낀 것을 아름답게 표현하는 게 시다'라는 고정관념에 사로잡혀 있었기 때문입니다. 물론 이런 생각이 틀린 것은 아니지만 좋은 시를 힘들이지 않고, 개성적으로, 재미있게 쓰는 데에는 이게 바로 함정이라는 걸 나중에야 깨닫게 된 거죠. 경험과 느낌은 모든 사람들 대부분이 비슷합니다. ..
시는 어디서 오는가 - 시적 발상 / 장옥관1 시창작 과정은 크게 세 부분으로 나눌 수 있다. 즉 원천적 단계과 의미화 단계, 형상화 단계. 원천적 단계는 선천적, 후천적 차원으로 나눌 수 있겠는데 시창작 교육에서 다룰 수 있는 부분은 교육에 의해 계발될 수 있는 후천적 차원. 후천적 차원은 독서와 체험, 사색의 세 범주에서 생각할 수 있을 것이다. 의미화 단계를 다른 말로 하면 시적 인식이라고 할 수 있다. 알맹이(관념/사상, 감정 따위)가 있어야 시를 쓸 수 있지 않겠는가. 허긴 알맹이 없는 시가 시중에 많이 나돌고 있다. 시가 그럴듯한 말로 아름답게 치장하거나, 설익은 관념을 그대로 노출하거나, 넋두리, 푸념에 가까운 질펀한 감정의 잔치가 아니라는 사실을 우선 깨달아야 한다. 여기에서 벗어나기 위해..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cu6AQC/btqTPxSnWvQ/fwThifAZLLaTlQGXB2bok0/img.jpg)
소주병 / 공광규 술병은 잔에다/ 자기를 계속 따라 주면서/ 속을 비워 간다// 빈 병은 아무렇게나 버려져/ 길거리나/ 쓰레기장에서 굴러다닌다// 바람이 세게 불던 밤 나는/ 문 밖에서/ 아버지가 흐느끼는 소리를 들었다// 나가 보니/ 마루 끝에 쪼그려 앉은/ 빈 소주병이었다// 공광규 시인은 1960년 서울 돈암동에서 태어나 충남 청양에서 성장했다. 동국대 국문과 및 단국대 대학원 문예창작학과를 졸업, 1986년 월간 《동서문학》신인문학상으로 등단하였다. 시집으로 『대학일기』 『마른 잎 다시 살아나』 『지독한 불륜』 『소주병』 『말똥 한 덩이』, 아동전기 『성철스님은 내 친구』 『윤동주』, 시론집 『시 쓰기와 읽기의 방법』 등이 있다. 신라문학대상, 윤동주 문학상, 동국문학상, 김만중문학상, 현대불교문..
시에서 배우는 역발상 방법 / 황인원1 오동은 고목이 되어갈수록 제 중심에 구멍을 기른다 오동뿐이랴 느티나무가 그렇고 대나무가 그렇다 잘 마른 텅 빈 육신의 나무는 바람을 제 구멍에 연주한다 어느 누구의 삶인들 아니랴 수많은 구멍으로 빚어진 삶의 빈 고목에 어느 날 지나는 바람 한 줄기에서 거문고 소리 들리리니 거문고 소리가 아닌들 또 어떠랴 고뇌의 피리새라도 한 마리 세 들어 새끼칠 수 있다면 텅 빈 누구의 삶인들 향기롭지 않으랴 바람은 쉼 없이 상처를 후비고 백금칼날처럼 햇볕 뜨거워 이승의 한낮은 육탈하기 좋은 때 잘 마른 구멍하나 가꾸고 싶다 - 복효근 무용지용(無用之用)이라는 말이 있다. 지는 어조사로 우리말로 치면 ‘~의’라는 뜻이다. 그러니 무용지용이란 무용의 용이라고 해석된다. 무용지용은 그..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cXj1Cq/btqS3H9hppH/tjvN7s0rx8Q707f3z0aLT0/img.jpg)
안씨의 공부 / 윤제림 己亥生 안씨 할머니가 이제 와서 한글을 깨쳐 보겠다고 검정고시학원에 딸린 한글반 학생이 된 까닭은 전주 가는 버스를 탔는데 진주에 부려지고 싶지 않아서다. 아니, 어느 날 저승에 가서도 그럴까 더럭 겁이 나서다. 거기선 글자 하나 잘못 읽으면 영판 엉뚱한 세상으로 간다지 않는가. 길 한 번 잘못 들면 한 칠만팔천 리쯤 엇나가서, 고쳐 잡자면 이천삼백 년쯤 걸린다지 않는가. 한글공부가 쉬이 끝나면, 한자도 조금 익혀 볼 생각이다. 그 나라 공문서는 아무래도 한자가 많이 섞여 있을 것 같아서다. [해설] 할머니 걱정 마세요. 전주에 가려다 진주에 부려지는 일 없으실 거예요. 물론 상주에 가려다 성주에 부려져서도 안 되겠지요. 더구나 저승 가서도 잘못 부려진다면 큰일이지요. 그러나 저승..
- Total
- Today
- Yesterday